안녕하세요~ 오늘은 페이스북 맞춤타겟과 유사타겟은 무엇인지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페이스북 광고를 집행해보셨거나, 이제 집행을 막 해보시는 분들이라면, 광고를 세팅할 때, 광고 세트 단에서 맞춤타겟과 유사타겟 또는 관심사 타겟을 지정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맞춤타겟은 뭐고 유사타겟은 뭐지라고 생각하면서 당황해하셨던 적이 있을거예요.
저 역시, 처음 광고 세팅을 해볼 때, 유사타겟은 뭔지 맞춤 타겟은 뭔지 생각조차 하지 않고, 매니저님의 말씀대로, "픽셀 설치도 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픽셀의 모수가 적을테니까, 관심사 타겟으로만 하세요" 라는 말에 무작정 타겟을 지정했었거든요..!
하지만, 이건 누구나 할 수 있는 광고 세팅이었고, 전략적으로 사고하는 마케터가 되기 위해서는, 맞춤타겟과 유사타겟의 개념을 알아놓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더라구요.
● 맞춤 타겟이란?
맞춤타겟은 아래의 사진처럼 나의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 혹은 고객리스트, 앱 활동이나 동영상을 본 타겟, 페이지 좋아요를 누른 사람들을 바탕으로, 범위를 만들어내는 타겟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면, 내 웹사이트를 들어온 방문객 수가 300명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이 300명을 지정하여 맞춤집단으로 만들어내는 것이죠.
이렇게 맞춤 타겟을 만들어내면 좋은 점은, 바로 리타게팅이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픽셀을 이용하여 맞춤타겟을 만들어낸다면,
1. 내 상세페이지에 관심이 있어서 들어온 사람
2. 그 제품에 관심이있어서 위시리스트 or 장바구니에 넣어놓은 사람
3. 주문서 결제페이지까지 도달한 사람
등 이렇게 점점 타겟의 범위를 좁혀서 구매를 할 확률이 높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아무래도 광고가 지속적으로 노출이 된다면, 한 번 본 사람보다는 클릭할 확률이 높고, 이미 관심이 있어서 들어왔던 사람에게 지속적으로 보여준다면, 처음 보는 사람보단 구매할 확률이 높지않을까요?
그래서 실제, 방문자 수가 많고, 구매 수가 많은 업체나 기업은 맞춤타겟을 정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더라구요.
반응형
● 유사 타겟이란?
유사 타겟은 내가 지정한 타겟과 유사한 행동을 보이는 다른 타겟들의 범위를 잡아 유사한 집단으로 만들어낸 타겟입니다.
간단히 얘기하면, 시사 경제 페이지와 동영상을 자주 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사람이 마스크를 구매를 했던 데이터를 가지고 그와 유사한 타겟을 설정할 경우, 실제 내 쇼핑몰에서 마스크를 구매를 하지 않았지만, 내 쇼핑몰에서 마스크를 구매한 사람과 유사한 행동을 하는 사람이니까 내 마스크를 살 확률이 높을거라는 추측으로 만들어낸 것이 유사타겟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단, 유사타겟은 내 쇼핑몰과 접촉이 없었던 인물입니다!)
그럼 유사타겟은 왜 사용하는 것 일까요?
분명 위에서는 맞춤타겟으로 설정해서 하는 리타게팅 광고의 효율이 더 좋다고 말씀드렸는데 말이죠.
사실, 맞춤타겟으로 만든다면, 확실하게 내 쇼핑몰에 들어온 사람을 타겟으로 잡을 수 있지만, 모수가 너무 적은게 가장 큰 리스크입니다.
맞춤타겟을 만든 300명과 그 300명의 맞춤타겟을 가지고 유사타겟을 만든 타겟의 노출 범위가 23만명이라면
어떤 방법이 더 구매에 효율적으로 먹힐까요?
그건 장담 못합니다. (허걱!)
하지만, 페이스북 광고에서 광고를 최적화 시키기 위해 머신러닝이 학습을 하는 시점에서 학습할 데이터가 많으면 많을수록 광고 최적화 및 효율이 좋아지고 더불어 우리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를 노출시켜 우리의 제품을 알리면서 동시에 구매까지 이뤄지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맞춤타겟과 유사타겟을 같이 집행하여 광고를 돌리는 곳도 적잖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맞춤타겟으로 돌려야할까요? 유사타겟으로 돌려야할까요?
정답이 없습니다.(허걱! 2)
테스트를 해보는 수 밖에 없어요.
광고의 소구포인트 테스트를 하고, 뽑아낸 소구포인트를 가지고, 타겟의 범주를 조절하고, 유사타겟의 범위도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해서 최적의 광고 효율을 내는 것이 최고인거죠.
이렇게 말하는 저도 사실 타겟을 일일이 나눠서 테스트 해본 경험은 없네요 ㅠㅠ.... 단지 이론 상으로 배웠습니다....
제가 배운 건 광고 세트별로 소구포인트를 나눠 소구포인트 분석 및 타겟의 연령을 좁히는 식정도까지 분석을 해봤던 터라, 맞춤타겟과 유사타겟의 테스트적인 건 추후에 집행을 해봐야 더 정확하게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반응형
'광고 매체 > 페이스북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 타겟팅 효율 높히는 방법 (0) | 2021.11.21 |
---|---|
페이스북 마케팅 - 페이스북 픽셀은 삭제를 할 수 있을까? (0) | 2020.05.12 |
페이스북 마케팅 - 페이스북 비즈니스 고객센터 문의하는 법 (1) | 2020.05.12 |
페이스북 마케팅 - 페이스북 맞춤픽셀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0.05.11 |
페이스북 마케팅 - GTM(구글태그매니저)를 이용하여 페이스북 맞춤픽셀 설치하는 법 (0) | 2020.05.10 |
최근댓글